NH투자증권 "미국국채 시장 기능 고장…연준 개입 가능성 커"
2025-04-12
금융당국은 NH투자증권 투자은행(IB) 부문 고위 임원이 상장사 공개매수와 관련한 미공개 정보를 이용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강제수사에 들어갔다. 이는 이른바 대통령이 강조했던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한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직원으로 구성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28일 NH누자증권 본사 임원실과 공개매수 관련 부서 등을 압수수색했다.
A씨가 최근 2년여간 NH투자증권이 주관한 11개 상장사 공개매수 관련 중요 정보를 직장 동료와 가족 등 지인에게 반복적으로 전달해 약 20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혐의다.
혐의자는 A씨를 포함해 그의 가족 및 가족의 지인, 영업본부 직원 등 총 4명이 혐의자로 추려졌다.
이들이 사용한 방식은 공개매수 사실이 시장에 공표되기 전 해당 주식을 매수했다가 공개매수 사실로 주가가 상승하면 전량 매도했다.
합동대응단의 자금 추적 내용에 따르면 공개매수 발표 전후 A씨와 정보 이용자들간 주식매매 관련 자금으로 추정되는 거액의 금전거래가 빈번하게 이뤄졌다.
부당이득을 공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과 회사 및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피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친인척 등 차명계좌를 활용하고, 거래 계좌도 수시로 바꾸는 등 증거 삭제 흔적도 확인됐다.
NH투자증권은 공개매수 업무에 대해 시장에서 독보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만큼 이 사건으로 인한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산될 전망이다.
합동대응단은 “금융회사 및 상장기업 임직원 등 정보 우위를 지닌 내부자가 자본시장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를 철저히 적발해 엄중한 형사처벌과 행정제재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며 “주가조작과 동일한 중대 범죄행위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환기하고 위법 적발 시 무관용 원칙으로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A씨는 해당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합동대응단은 압수수색을 통해 각종 서류, PC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해 미공개 정보를 취득한 경로와 가족 및 지인에게 전파한 내용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대통령이 주가조작이나 불공정거래에 엄벌 의지를 밝혀온 만큼 앞으로도 ‘패가망신’ 사례들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합동대응단은 앞서 ‘1호 사건’으로 종합병원, 대형학원 운영자 등 슈퍼리치와 유명 사모펀드 전직 임원, 금융회사 지점장 등 금융 전문가들이 1천억 규모의 자금을 동원한 대형 주가조작을 적발한 바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