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정례회 개회…내년도 예산안 등 219개 안건 처리
2025-11-03
서울지역 신축 아파트 단지 10곳 중 여덟 곳이 실내 공기 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봉준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실내 공기 질 검사를 받은 44곳 단지 중 38곳 단지(86.4%)가 권고 기준을 초과했다.
세대수로는 259세대 중 154세대(59.5%)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이 중 114세대는 재검사에서도 기준을 넘겼다. 세 수 기준 기준치 초과율은 지난해 31.5%에서 올해 59.5%로 2배 가까이 악화됐다.
이 의원은 “서울시가 올해 4월 실질적인 공기질 개선을 약속했음에도 오히려 상황이 더 나빠졌다”고 질타했다.
다량 검출된 유해 물질은 톨루엔(128곳)과 1급 발암물질인 라돈(40곳) 등이다. 톨루엔은 페인트, 접착제, 벽지 등 건축 자재에서 발생하며 두통과 구토를 유발한다. 일부 주택에서는 기준치(1000㎍/㎥)의 5배가 넘는 5004㎍/㎥가 검출되기도 했다.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가 흡연 다음으로 폐암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한 유해물질이다. 노출량과 기간이 길수록 특히 흡연자일수록 폐암 발생 위험이 급격히 증가한다.
역세권 청년주택, 청년안심주택 등 임대주택은 상황이 더 심각했다. 9월까지 검사 받은 15곳 단지 전부(100%)가 기준을 초과했다. 72가구 중 61가구(84.7%)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이 의원은 “임대 주택은 일반 분양 주택보다 더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데 오히려 상황이 더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행 제도는 기준 초과 때 시공사에 베이크 아웃 등 개선 조치만 권고할 뿐 강제성이 없다”며 “법적 규제 강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임대 주택의 경우 더 철저히 확인하겠다”며 “입주자들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