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대기업 계열사 간 채무보증 4205억원…전년比 62.3% ↓

총수익스와프 거래 3조3725억원… 작년 동기보다 33.4% 감소
공정위 측 “TRS 우회수단 활용 방지 위해 모니터링 강화”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11-13 08:11:30
공정위 제공

올해 자산 10조원이 넘는 대기업의 채무보증액이 지난해보다 6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공정위는 전날인 1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채무보증 현황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올해(5월 1일 기준) 채무보증금액은 4천205억원으로, 지난해(1조1천150억원) 대비 6천945억원 감소(-62.3%)했다.

이 중 제한대상 채무보증금액은 2천636억원(7개 집단)으로, 지난해(9천641억원) 대비 7천5억원(-72.7%) 감소했으나, 제한제외대상 채무보증(1천569억원)은 신규 지정집단에서 211억원이 새로 발생해 60억원(4.0%) 증가했다.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채무보증은 ▲원칙적으로 금지되는 ‘제한대상 채무보증’(2년 내 해소의무)과 ▲국제 경쟁력 강화 등 목적으로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제한제외대상 채무보증’(해소의무 없음)으로 구분된다.

공정위 측은 “제한대상 채무보증은 대부분 계열사의 사업자금 조달에 대한 신용보강 차원에서 이뤄졌으며, 이미 해소 완료됐거나 유예기간(2년) 내 모두 해소될 예정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제한제외대상 채무보증의 경우 대부분 SOC(사회간접자본), 해외 건설 등과 관련해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공정위는 채무보증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총수익스와프(TRS) 거래에 대한 서면실태조사를 지난해에 이어 실시했다.

올해(5월 1일 기준) TRS 거래 규모는 3조3천72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조601억원)보다 1조6천876억원(-33.4%) 감소했다. 이는 신규 계약금액(2천억원)은 미미한 데 반해, 다수 거래가 계약 종료(1조8천876억원)된 데 기인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대기업 집단 계열사 간 채무보증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TRS 거래가 채무보증 우회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제도 보완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경기일보> 기사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