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현대건설, 구미시 바이오가스화 시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사업비 1767억원, 4년 공사 후 20년간 운영
유기성 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사업 선도
권태욱 기자 2024-03-18 11:09:52
구미시 광역 통합 바이오가스화시설 조감도./현대건설

현대건설은 경북 구미시 광역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민간투자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경북 칠곡군에 위치한 구미하수처리장 내 음식물류 폐기물, 하수 찌꺼기, 분뇨 처리시설을 재건설하고, 구미시와 칠곡군에서 발생하는 하루 475톤의 유기성 폐기물에서 생산한 바이오가스를 고질화해 도시가스로 공급하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다. 사업비는 1천767억원이다. 

공사 기간은 착공 후 약 4년이며, 현대건설은 준공 후 약 20년간 운영도 맡는다. 

구미시 광역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에서 생산한 바이오가스는 인근 지역에 도시가스로 공급된다. 예상 생산량은 연간 약 550만N㎥ 규모이며, 도시가스로 활용하면 매년 약 9천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현대건설은 폐기물을 자원화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투자를 지속 추진하며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2008년 인천 청라에 시험 설비를 건설하며 유기성 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에너지 기술 개발에 착수한 이후 국내외 18건의 특허를 등록하는 등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또 실증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의 안정성 및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6월에는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추진한 민간투자형 통합 바이오가스화 사업인 시흥시 클린에너지센터가 완공된다. 이 센터는 하루에 음식물류 폐기물 145톤, 하수 찌꺼기 540톤, 분뇨 60톤을 통합 처리해 에너지화한다. 

환경부 주관 국책연구사업의 하나로 현대건설이 건설해 2016년부터 운영 중인 충주 음식물바이오에너지센터는 하루 8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이 과정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원료로 순도 99.99% 이상의 수소를 생산해 인근 수소용복합충전소에서 수소차 연료로 공급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자원 순환형 수소 생태계 구축’ 등 수소 비전 실현에 긴밀하게 협력하는 것은 물론, 차세대 에너지 글로벌 시장을 견인하도록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