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은행연합회, ‘민생금융 자율프로그램’ 3천406억원 집행

올해 목표액 중 57% 집행…“1천5억원 현금성 투입”
이현정 기자 2024-07-31 16:01:41
은행연합회 제공


은행권의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이 올해 목표액 중 57%인 총 3천406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은행권은 올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민생금융지원방안 자율프로그램에 3천406억원을 집행했다. 이는 목표액(5천971억원)의 57% 수준이다.

자율프로그램은 민생금융 지원규모 약 2조1천억원 중 은행권 ‘공통프로그램’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이자환급 지원액인 1조5천억원을 제외한 6천억원을 활용해 은행별 상황에 맞춰 취약계층을 지원하겠다는 취지다.

항목별로 보면 서민금융진흥원 출연과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지원에 1천792억원이 집행됐다. 소상공인과 소기업에는 1천91억원이 지원됐다. 청년과 금융취약계층 등 지원에는 523억원이 활용됐다.

수혜자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전체 집행액(3천406억원) 중 서민금융진흥원 출연액을 제외한 집행액(1천681억원)의 약 60%인 1천5억원이 현금성 지원에 투입됐다. 전기료‧통신비 등 경비지원, 보증료‧디지털기기 도입비 등 비용 지원, 이자 캐시백 등이 대표적이다.

자율프로그램에는 민생금융지원방안 지원액에서 공통프로그램 지원액 외 잔여재원이 있는 12개 은행이 참여하고 있다.

참여 은행은 하나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국민은행‧기업은행‧SC제일은행‧한국씨티은행‧카카오뱅크‧광주은행‧수협은행‧농협은행‧아이엠뱅크다. 토스뱅크는 자발적으로 이자환급과 저금리대환 등을 진행 중이다.

은행연합회는 올해 안에 자율프로그램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은행별 집행실적을 10월 말과 내년 1월 말 추가 공시할 예정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