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 선정 앞두고 나온 제언

학계·업계, AI 관련 사업 밸런싱 확보 주장
해외 유수 인재 국내 복귀 방안 수립 시급
정부, 단계적 사업 추진 통해 해결해나갈 것
조시현 2025-08-01 18:32:38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 세리머니에 참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제공

우리나라를 대표할 인공지능(AI) 개발팀을 육성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 선정이 며칠 남지 않은 가운데 AI 관련 학계와 업계로부터 제언들이 나오고 있다.

관련 학계와 업계에서는 이재명 정부 핵심 정책으로 꼽히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이 다양한 AI 분야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하고, 해외 유수한 인재를 국내로 복귀시키는 방안을 먼저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관련 학계에서는 보안성과 인재 확보 등에 한 목소리로 우려를 표했다. 다만, 사업 다양성 추진을 놓고는 단계적 추진과 일괄 추진 등으로 의견이 나뉘고 있다.
생성형 AI 이미지. 연합뉴스

플랫폼·생성형 AI에 치중된 사업 구조...피지컬 AI 홀대하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고 있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 선정에 10개 컨소시엄이 지원했다. 이중 5곳을 선정해 오는 4일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이 6개월 이내 출시된 글로벌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을 지니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대통령 공약이었던 ‘모두의 AI’에 활용하는 등 국민 인공지능 접근성 증진, 공공과 민간 분야 인공지능 전환(AX)을 지원하는 등 기여도도 평가 요소에 포함됐다.

그러다보니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관련 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실생활이나 각종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피지컬 AI(로봇 AI) 관련 사업이 상대적으로 홀대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울 소재 종합대학교 AI 관련학과 A 교수는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피지컬 AI의 경우는 사실 연구가 오래 걸리다 보니 단기간에 가시적 결과가 나오기 어렵다”며 “그런면에서 정책 지원에서 늘 외면받을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A 교수는 “외국과 비교해보면 이런 면이 조금 아쉽다”며 “당장 눈 앞에 결과가 보이질 않아도 꾸준하게 지원책이 나와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점이 많다”고 덧붙였다.

다른 서울 소재 종합대학교 B 교수는 “피지컬 AI의 경우 타 학교, 기업들과 협력이 매우 필요하고 중요하다”며 “사실 그렇기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추진하기가 정말 어렵다”고 말했다.

B 교수는 “정부가 나서서 협력 체계 틀을 만들어주면 참 좋은데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며 “그러다보니 해외에 비해 우리나라가 피지컬 AI 분야에서는 뒤처지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피지컬 AI 간담회 참석한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연합뉴스

보안성 취약도 문제...인재 수급 문제는 더 큰 문제

학계와 업계 관계자들은 보안성 강화와 인재 수급을 핵심 문제로 꼽았다.

앞서 SK텔레콤 사태처럼 AI를 이용한 데이터 보안이 뚫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장현 성균관대 글로벌융합학부 교수는 “SK텔레콤 사태를 보고 깨닫고 배워야 한다”며 “정보 보안성 문제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이에 대한 대비를 처음부터 갖춰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AI 관련 업계 관계자도 “국가에서 추진하는 사업인만큼 보안성에 대해서도 평가 기준을 엄격하게 해 판단해야 한다”며 “특히나 오픈 AI를 구축하게 되면 보안성 강화는 반드시 갖춰야 되는 기본 사항이라는 것을 명심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또, AI 관련 산업이 제대로 구축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인재 풀 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장현 교수는 “가장 큰 문제는 해외에서 AI를 공부한 인재들을 국내로 어떻게 데리고 오느냐”라며 “해외에서 인재를 대우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아직 준비가 안 돼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짚었다.

김 교수는 “정부에서 AI 관련 산업을 부흥시키겠다고 나선만큼 이 부분에 대한 제도는 확실하게 정비했으면 좋겠다”며 “인재 풀이 풍부하고 다양해야 관련 산업들이 뻗어나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AI 업계 관계자도 “해외로 유출되는 인재도 큰 문제지만 해외에 있는 한국 유학생들이 귀국하지 않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학계와 업계 관계자들이 한 목소리로 인재 풀 구축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되는 인력 풀이 탄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정부에서 단계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인력 풀 확보에도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전했다.

향후 정부가 단계적 사업 추진 과정에서 학계와 업계에서 나오는 제언들을 귀담아 듣고 정책에 반영하는지 지켜볼 일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도심 아파트 촌의 여름

산 위에 올라 보면 서울 시내에 회색 블록을 얹어 놓은 듯 아파트가 하나 가득합니다. 우리나라의 여름이 점점 길고 더워지는 요즘 현상을 보면 도시의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