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태원 회장이 SK그룹의 글로벌 AI 혁신 의지를 강하게 피력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SK AI 서밋 2024’에서 SK가 보유한 AI 역량에 국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더해 글로벌 AI 혁신과 생태계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4일 밝혔다. 여기에 SK의 AI 인프라를 통한 국내 AI 스타트업 성장과 생태계 구축 지원 구상도 발표했다.
SK AI 서밋은 ‘함께하는 AI, 내일의 AI’를 주제로 진행하는 행사다. SK그룹이 전세계 AI 대표 기업인, 학자, 전문가 등을 초청해 처음 마련한 AI 심포지움이다.
최태원 회장은 개막일 기조연설에서 “이번 행사 슬로건이 말해주듯 AI의 미래를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행사 개최 취지를 설명했다.
협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AI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안다고 하지만 아직 모르는 것이 더 많으며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이 함께 고민하며 풀어야 하는 많은 난제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AI는 우리 모두의 삶과 사회에 광범위한 변화를 가져올 기술이기 때문에 이 변화를 긍정적으로 이끌기 위해 우리 모두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가 계속 성장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보틀넥(병목현상) 해법에 대한 의견도 제시했다. 최태원 회장이 내놓은 해결안은 AI에 대한 투자를 회수할 대표 사용 사례와 수익 모델 부재, AI 가속기 및 반도체 공급 부족, 첨단 제조공정 설비 부족, AI 인프라 가동에 소요되는 에너지(전력) 공급 문제, 양질의 데이터 확보 문제의 5가지다.
이에 대해 최태원 회장은 “SK는 반도체부터 에너지, 데이터센터의 구축 운영과 서비스의 개발까지 가능한 전세계에서 흔치 않은 기업”이라며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각 분야 세계 최고 파트너들과 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SK와 파트너들의 다양한 솔루션을 묶어 AI 보틀넥을 해결하고 좀 더 좋은 AI가 우리 생활에 빨리 올 수 있도록 글로벌 AI 혁신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인프라에 대해서도 “인터넷 시대의 진입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했던 한국이 AI 시대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려면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고 발언했다.
이를 위해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구축, 양질의 데이터 확보, AI 시대에 맞는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SK의 인프라를 통한 국내 스타트업들의 성장과 AI 생태계 구축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글로벌 빅테크 AI 업계 인사 대담 진행
최태원 회장의 기조연설 후에는 SK와 협력하는 글로벌 빅테크 등 AI 업계 인사들이 대담을 진행했다. 최태원 회장은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모델 개발을 위해 SK그룹 내 AI TF 조직을 지휘하고 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겸 CEO는 사전 녹화된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텔레콤과 마이크로소프트 간 파트너십이 AI 시대에 가지는 중요성과 양사의 공동 성과에 대해 언급했다. 사티아 나델라 회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과 전세계에 강력한 AI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설립자 겸 CEO는 데이비드 패터슨 교수와 ‘AI 반도체의 협력’을 주제로 특별 대담을 진행했다. 영상에서 젠슨 황 CEO는 “AI로 인한 산업 혁명이 시작되면서 AI 분야의 업청난 잠재력을 실감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SK하이닉스의 파트너십은 AI 산업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AI와 인류의 미래를 함께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답변했다.
웨이저자 TSMC CEO는 SK AI 서밋의 성공적인 개최를 축하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웨이저자 CEO는 “AI 생태계 전반에서 더욱 긴밀하고 견고한 협력을 통해 AI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며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확장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함께 만들어 가자”고 답했다.
그렉 브로크만 오픈 AI 회장 겸 사장은 ‘AI의 미래’를 주제로 직접 무대에 올라 라이브로 진행되는 현장 대담에 참석했다.

■ SK그룹 CEO, 미래 AI 전략 제시·국내외 AI 전문가 행사 참여
SK그룹의 CEO들도 행사에 참여해 미래 AI 전략을 제시했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기조연설에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계획을 공개하고 SK와 국내외 파트너들이 협력하는 AI 인프라 기반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CEO는 ‘차세대 AI 메모리의 새로운 여정, 하드웨어를 넘어 일상으로’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AI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준비 중인 제품과 기술을 소개했다.
이날 오후 SK AI 서밋 행사장에서는 AI 전분야별로 글로벌 기업과 전문가들이 주제발표 및 토론을 진행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총괄 부사장의 ‘미래 AI 개척을 위한 인프라 혁신’, 마크 아담스 펭귄 설루션즈 CEO의 ‘AI 인프라’,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CEO의 ‘원자력의 AI 전력 공급’,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퍼플렉시티 CEO의 ‘AI 서비스’에 대한 주제 발표가 이뤄졌다.
행사 둘째 날인 5일에는 AI 인프라·반도체·서비스를 주제로 ‘K-AI 얼라이언스’와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등이 참여하는 주제 발표와 패털 토론을 진행한다. ‘국가 AI 전략’ 세션에서는 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 겸 태재대 총장이 박성현 리벨리온 CEO, 정신아 카카오 CEO 등과 함께 ‘AI로 발돋움하는 대한민국 국가 경쟁력’을 주제로 토론을 한다.
SK그룹 관계자는 “SK AI 서밋은 AI 분야 민간, 정부, 학계의 국내외 최고 전문가 및 AI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이 참여하는 교류의 장으로 AI 생태계 형성에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SK는 미래 AI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 포트폴리오 역량 강화로 내실을 다지고 글로벌 AI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