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가 기존에 운영 중인 모빌리티 서비스를 활용해 대중교통 소외 지역의 문제 해결에 나섰다.기여한다.
현대자동차는 보령시에서 ‘셔클’ 플랫폼 기반 통합 교통 서비스인 ‘불러보령’을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불러보령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의 이동을 돕는 통합 교통 서비스다. 현대차가 운영 중이던 수요 응답 교통 셔클을 보령시의 교통 인프라의 수요에 맞춰 도입했다.
수요 응답 교통은 이용자가 서비스 지역 내에서 차량을 호출하면 버스가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최적 경로를 따라 운행하며 승객들이 원하는 장소에서 태우고 내려주는 서비스다. 신규 호출이 발생하면 합승 알고리즘을 통해 유사한 경로의 승객을 함께 탑승하도록 경로를 재구성하고 배치가 이뤄진다.
수요 응답형 교통 이용자는 셔클 모바일 앱 또는 전화 통화를 통해 수용응답형 버스를 호출할 수 있다. 승객들이 모이는 주요 기점에는 키오스크형 호출벨을 설치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현대차와 보령시는 고령자들의 접근성과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지역 서포터즈를 운영한다. 보령시는 60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65.1%를 차지하고 있다. 서포터즈는 버스 호출 등 서비스 이용 교육, 지역 주민들의 탑승 체험 유도, 지역 내 운행환경 이슈 모니터링 등을 진행해 서비스 운영을 돕는다.
김수영 현대차 모빌리티사업실 상무는 “2021년부터 이어온 셔클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보령시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을 새롭게 제공하게 돼 뜻깊다”며 “앞으로도 인구 소멸지역의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 지역을 넓혀 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현대차의 셔클 플랫폼은 국내 21개 지방자치단체와 46개 서비스 지역에서 268대의 수요응답형 서비스 차량을 운영 중이다. 누적 탑승객은 700만명 이상을 기록했다.
전라남도 영암군은 올해 2월 기존 버스 노선을 셔클 플랫폼인 콜버스로 전환했다. 이후 평균 탑승객이 155명에서 281명으로 증가하고 기존 노선버스 배차간격이 60~90분에서 평균 대기시간 27분으로 줄었다.
현대차는 내년 초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특화 셔클 서비스를 출시하며 교통 약자 이동 편의 개선을 목표로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