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글로벌 이동통신 표준단체로부터 의장단을 배출하며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분야 에서의 리더십을 다시 인정받았다.
LG전자는 CTO 부문에서 근무 중인 김래영 책임연구원이 이동통신 표준단체 ‘3GPP’에서 ‘SA 총회’ 부의장으로 선임됐다고 14일 밝혔다.
SA 총회는 3GPP의 핵심 조직으로 5G 및 6G 이동통신의 시스템 아키텍처 표준화를 주도하고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 요구사항, 보안 메커니즘 등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5G 진화 기술 5G-어드밴스드와 미래 통신기술 6G 표준화 논의를 주도한다.
이번 부의장 선출을 통해 LG전자는 통신 프로토콜 및 시스템 아키텍처 분야에서 보유 중인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 받았다. LG전자는 미국통신산업협회(ATIS) 주도의 6G 기술단체 ‘넥스트 G 얼라이언스’에서도 어플리케이션 분과 워킹그룹 의장사를 연임했다.
LG전자는 이번 의장단 선출을 계기로 6G 분야 연구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향후 표준화 논의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하고 다양한 미래사업의 기반기술이 되는 통신기술 분야 리더십을 지속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LG전자 CTO 부문 제영호 C&M 표준연구소장은 “선행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며 6G 통신 기술 생태계에서의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6G는 △몰입형 실감 콘텐츠 전송 △초저지연/고신뢰 전송 △통신-AI 결합 △통신-센싱 결합 등이 가능하다. AI홈, 모빌리티,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LG전자는 6G 통신 선행 연구개발에서 선도적 입지 구축에 나서고 있다. 2019년에는 국내 최초 6G 산학협력 연구센터인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통신 기술 강점을 가진 대학들,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과 6G 핵심기술 R&D 협력 벨트를 구축해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했다. 2022년부터는 ‘6G 그랜드 서밋’을 개최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6G 분야 연구개발 현황과 미래 방향성 논의를 주도 중이다.
연구개발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2023년 6G 테라헤르츠 대역 무선 데이터 전송 테스트에서 도심지역 세계 최장거리 수준인 실외 500m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했다. 이에 더해 LG전자가 개발 중인 차세대 무선이중통신 기술은 6G 표준 기술로 진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기술 검증을 병행하고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