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3일 경기도 고양시 소재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아와 ‘PBV 기반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구현 비즈니스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과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 협약은 LG전자의 AI 공간 솔루션 역량과 기아의 PBV 기술력을 결합한 차별화된 모빌리티 공간 경험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LG전자와 기아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 기아관에서 이번 업무 협약의 비전을 보여주는 콘셉트카 ‘슈필라움 스튜디오’와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을 처음 공개했다.
‘슈필라움’은 기아 PV5에 LG전자의 맞춤형 가전을 접목한 AI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이다.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가전과 가구를 조합할 수 있다.
이 중 1인 사업가를 위해 기획된 ‘슈필라움 스튜디오’는 모듈형 스타일러, 스마트미러, 커피머신을 포함한 AI 가전을 적용해 이동 시간에 맞는 스타일러 코스를 제안한다. ‘슈필라움 글로우캐빈’은 냉장고, 광파오븐, 와인셀러를 탑재했다.
생성형 AI가 적용된 허브 ‘LG 씽큐 온’은 탑승객과 대화하며 슈필라움 내 가전제품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LG전자와 기아는 이번 업무 협약을 시작으로 이동 중에도 AI 가전제품을 활용할 수 있도록 모빌리티 공간 발전에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은 “이번 LG전자와의 협력은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이라는 PBV의 본질적 가치를 구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개인화된 생활 및 업무 공간으로 진화하는 모빌리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이번 기아와의 협력은 공감지능으로 새로운 일상을 만드는 LG전자의 ‘AI 공간 솔루션’이 집을 넘어 모빌리티, 고객이 머무는 모든 공간으로 확장하는 게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LG전자는 ‘공감지능’ 기반의 AI홈 시대를 선언하며 AI홈을 상업공간이나 모빌리티 등 고객이 머무는 모든 공간으로 확장하겠다는 방침을 알렸다.
실제로 CES 2025에서는 거실, 드레스룸, 침실, 주방 등에 있는 홈 가전들을 모듈처럼 조합해 적합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모빌리티 콘셉트 ‘MX 플랫폼’을 선보였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