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알면 쓸모있는 상식] 지하철 객실내 시원한 자리 어디일까요? 

서울교통공사, 양끝 교통배려석 주변 가장 시원
“추위 약한 승객은 1도 낮은 ‘약냉방칸’ 이용을”
권태욱 기자 2025-07-04 11:58:15
전동차 객실 내 공기 흐름도. 서울교통공사

지하철을 탑승할 때 시원한 곳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같은 칸의 같은 온도인데도 서 있는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를 느낄 수 있다는 것입니다. 

4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올해들어 5월까지 접수된 냉난방 민원 건수는 28만 3천972건으로 전체 불편 민원 중 75.5%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냉난방 민원은 더위가 시작되는 5월부터 급격히 늘어나는데 5월 한 달에만 약 11만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됐습니다. 

특히 같은 시간대, 같은 칸에서 ‘덥다’는 민원과 ‘춥다’는 민원이 동시에 들어오는 경우도 많아 상담원들이 난감해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합니다. 

공사측은 지하철 객실은 개별 온도센서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자동으로 조절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계절별 적정온도는 여름철 24~27도, 겨울철 18~21도입니다. 공사에서는 일반칸은 24도, 약냉방칸은 25도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지하철 냉방. 연합뉴스

출퇴근 시간대에는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최대로 가동하고, 시간대별 승객 혼잡도에 따라 객실 온도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그럼 객실내 시원한 자리는 어디일까요? 

덥다고 느끼는 승객은 온도가 가장 낮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춥다고 느끼는 승객은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에 탑승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위를 많이 타시는 승객은 일반칸에 비해 1도 높게 운영하는 약냉방칸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약냉방칸은 1‧3‧4호선에서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입니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공사측은 열차 이용 중 덥거나 추울 경우 ‘또타지하철’ 앱 혹은 공식 챗봇을 통해 민원을 접수해주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뜨거운 한낮의 적막

뜨거운 한낮의 적막

지구는 5월, 6월의 뜨거운 햇볕으로 충분히 달구어진다. 그래서 그 후 한낮에는 해변의 모래를 맨발로는 뜨거워 밟지 못한다. 그리고 검은색의 아스팔
사랑의 경제학

사랑의 경제학

영화 ‘봄날은 간다’에서 유지태가 연기한 상우의 이 한마디는 단순한 질문이 아니다. 그것은 변해버린 감정 앞에서 무력해진 한 인간의 절규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