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오션은 29일 해양수산부 극지연구소와 함께 극지항해와 연구를 위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 체결은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한국해운협회 대회의실에서 이뤄졌다. 계약식에는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 최동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솔루션연구본부장을 포함한 30여명이 참석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쇄빙능력시험을 포함해 2029년 12월까지 건조를 완료한 후 한국 극지 연구 임무를 맡게 된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우리 기술력으로 건조될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과학연구, 자원협력 등 북극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프라”라며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시작으로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와 실측 기반 데이터를 꾸준히 쌓아가겠다”고 말했다.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는 건조사에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은 단순한 극지연구 차원을 넘어 중장기적 국익이 걸린 중대 현안”이라며 “이번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을 통해 국가의 미래, 그리고 더 나아가 인류 번영에 기여하는 뜻 깊은 여정에 동참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총 톤수는 1만6,560톤이다. 해당 연구선에는 LNG 이중연료 전기추진체계가 탑재된다. 1.5m 두께의 얼음을 깨고 나아갈 수 있는 양방향 쇄빙 능력과 영하 45도의 내한 성능도 보유했다. 선실, 응접실, 식당 등도 최고급 여객선 수준으로 마련했다.
한화오션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과 함께 향후 쇄빙선 분야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북극해 해양 패권 경쟁을 위해 미국이 극지에 대한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는 기조에 함께하는 방향이다.
김호중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 상무는 “신항로 개척에서 자원개발에 이르기까지 극지가 가진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선점하기 위한 수단이 쇄빙선”이라며 “한화오션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발 빠르게 쇄빙선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의 하나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