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서비스업 악화...뉴욕 3대 주가지수 동반 하락
2025-08-06

골드만삭스 등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이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1%로 높였다.
특히 한국 경제를 가장 비관적으로 봤던 JP모건도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한 달 새 0.2%포인트 올렸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7월말 기준 해외 주요 투자은행, IB 8곳의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0%로 집계됐다.
IB 전망치 평균은 지난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한 것이다.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올려 잡은 곳은 JP모건, 골드만삭스, 씨티이다.
JP모건은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6월 30일 0.5%에서 0.6%로 올린 데 이어 지난달 24일엔 0.7%로 또 높였다.

JP모건은 지난달 24일 한국은행의 2분기 GDP 발표 이후 보고서를 통해 "2분기 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을 소폭 웃돌았는데, 이는 수출 호조와 제조업 성장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3분기에는 이로 인한 반작용이 나타나겠지만, 재정 부양책 효과가 완충 작용을 할 것"이라며, "하반기 연율 평균 1.8% 성장 전망을 유지하면서 2분기 실적을 반영해 연간 성장률을 0.7%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씨티 역시 지난달 24일 2분기 GDP를 고려해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0.6%에서 0.9%로 0.3%p 높였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일 한미 무역 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 1.1%에서 1.2%로 0.1%p 올렸다.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이번 무역 협상 발표는 반도체 등 특정 품목 관세 관련 불확실성을 줄인다"며, 한국이 다른 국가와 비교해 불리한 조건도 아니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1%p씩 높인 1.2%, 2.2%로 제시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6월에도 미국 관세 리스크 완화, 미국과 중국의 성장 전망 상향, 한국의 재정 부양 가능성 등을 반영해 성장률 전망치를 0.7%에서 1.1%로 0.4%p 올렸다.
한국은행도 오는 8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전망치를 올릴 가능성이 있다.
한은은 지난 5월 올해 연간 성장률을 0.8%로 전망하면서 2차 추경이 올해 성장률을 0.1%p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 결과가 향후 성장률 전망에 주요 변수로 꼽혔는데, 대미 상호관세율 15%와 자동차 품목 관세율 15%는 한은이 지난 5월 경제전망에서 가정한 시나리오와 대체로 부합하는 수준으로 평가된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