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 ETF 순자산 ‘200조원’ 넘어

전 세계 13개 지역 624종 상장지수펀드 운용…글로벌 12위
이현정 기자 2024-12-12 15:33:37
글로벌엑스 임직원 단체 사진.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총 200조원을 넘었다.

11일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미래에셋 글로벌 ETF의 총 순자산은 2021년 100조원을 넘은 지 3년여 만에 2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전날 기준 한국과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전 세계 13개 지역에서 624종의 ETF를 운용 중이다. 총 순자산은 202조원으로 전 세계 ETF 운용사 가운데 12위 규모다. 

2006년 국내에서 ‘TIGER ETF’를 선보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5년 뒤 국내 운용사 최초로 홍콩증권거래소에 ETF를 상장하면서 본격적으로 해외 ETF 시장에 진출했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2011년 캐나다 ‘호라이즌 ETFs(현 글로벌 X 캐나다)’를 시작으로 2018년 미국 ‘글로벌 X’, 2022년 호주 ‘ETF 시큐리티(현 글로벌 X 오스트레일리아)’ 등 ETF 운용사와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면서 성장해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해외 현지에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전 세계 ETF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 글로벌 X의 운용자산 규모는 인수 당시보다 5배 이상 증가했다. 글로벌 X 캐나다는 인컴형 ETF를 중심으로 캐나다 4위 ETF 운용사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 유일의 ETF 전문운용사인 ‘글로벌 X 재팬’, 홍콩을 넘어 중국 본토 ETF 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X 홍콩’ 등 각 법인은 현지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신흥국을 대표하는 인도의 ETF 시장에서도 두드러진 성과가 나오고 있다. 인도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국계 운용사가 모두 철수한 가운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유일하게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을 세우고 선제적으로 투자했다.

최근 ETF 순자산 2조원 돌파 등 인도 진출 16년 만에 현지 9위 운용사로 성장했다. ETFGI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연평균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ETF 순자산 성장률이 61.1%로 인도 전체 ETF 시장 성장률인 23%를 2배 이상 웃돌았다.

미래에셋 그룹은 글로벌 ETF 비즈니스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도 추진 중이다. 인도에 인하우스 인덱스 회사인 ‘미래에셋 글로벌 인디시즈’를 설립하고, 유럽의 ETF 시장조성 전문회사 ‘GHCO’를 인수하는 등 지수 개발부터 유동성 공급까지 글로벌 ETF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인도 증권사인 ‘쉐어칸’을 인수하면서 국내 증권사 최초로 인도의 자본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호주 ‘스탁스팟’ 인수 및 미국 ‘웰스스팟’ 설립으로 인공지능(AI) 투자 전략 및 자문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김영환 미래에셋자산운용 혁신‧글로벌경영부문 사장은 “미래에셋 그룹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라며 “글로벌 ETF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에게 차별화된 상품과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도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3년 뒤 주택 공급난 닥치나

향후 2~3년내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난 영향으로 집값 상승 우려가 있다고 한다. 특히 차기 정부가 현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이어서 시행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