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는 최태원 회장이 현지시간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에서 전시관을 둘러보고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만나 사업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최태원 회장은 젠슨 황 CEO와의 만남에 대해 “서로 만나 사업 관련한 여러 논의를 했다”며 “(기존에는) 상대의 요구가 ‘더 빨리 개발을 해 달라’는 것이었는데 최근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를 선제적으로 높여 헤드투헤드로 서로 빨리 만드는 것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엔비디아가) 컴퓨팅을 잘 이해해 컴퓨팅 관련 솔루션을 가장 효율적으로 찾아서 만드는 회사라는 것이 황 CEO의 생각이었고 실제로 그렇게 움직이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3년 연속 CES 방문에 대해서는 전부 AI화 되어가고 있으며 모든 것에 AI가 들어가기 시작했다는 것을 볼수 있는 전시라는 소감을 전달했다. 여기에 피지컬 AI라고 하는 로봇이나 우리 주변 기기 안에 AI가 탑재되는 것이 일상화되고 상식화됐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덧붙였다.
SK의 AI 사업과 관련한 데이터 센터 사업 추진 비전도 소개도 이뤄졌다.
최태원 회장은 “(지금은) AI 반도체를 하고 있지만 새롭게 하고 있는 것은 AI 데이터 센터 솔루션이 될 수 있는 모델을 찾는 것이며 AI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를 중점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한국이 AI산업 경쟁에서 뒤쳐져서는 안된다며 “AI는 이제 좋든 싫든 해야만 하는 것이고 이 경쟁에서 뒤쳐지면 반도체, 철강 등 그동안 우리가 자랑하던 모든 산업의 경쟁력이 위협 받을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AI에 대해서도 선택사항이 아닌 인터넷 환경이나 증기기관처럼 모든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 변화를 만들고 있는 산업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가능하면 최전선에 서서 이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냐 따라갈 것이냐에 따라 경제적 부침이 달려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최태원 회장은 “우리 스스로 어떤 형태로든 API를 개발해야 한다”며 “제조업 관련 AI 라던지 로봇 관련한 AI 라던지 특정 지역을 삼아 전략화 하던지 하기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며 한국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도 덧붙였다.
AI 인프라와 사람에 대해서는 “교육을 통해 얼마나 많은 AI를 상시적으로 쓸 수 있는 사람이 되는지 AI를 만드록 연구하는 사람이 AI를 가지고 실험해 결과가 나오는 기본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답했다.
최태원 회장은 “다른 나라, 다른 곳에 전부 의존하게 되면 우리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질 것”이라며 “우리가 필요한 건 스스로 만들어야지 남에게 영원히 의존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