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DATA STORY

작년 국민연금 선택은 ‘IT전기전자’…삼성전자 지분 가장 커

작년 국민연금 선택은 ‘IT전기전자’…삼성전자 지분 가장 커

지난해 국민연금이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회사 수가 전년인 2022년보다 6곳 감소했지만, 10% 이상을 보유한 회사 수는 전년 대비 7곳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지분 5% 이상을 투자한 종목이 가장 많이 속한 업종은 IT전기전자였다.1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 2022년 12월 말부터 지난해 12월 말까지 1년간 국민연금이 국내 상장사 중 5% 이상 투자한 기업을 조사한 결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4-01-17 18:13:10
직장인 행복도 41점…‘대리급’ 연차가 가장 낮아

직장인 행복도 41점…‘대리급’ 연차가 가장 낮아

지난해 우리나라 직장인 행복도가 100점 만점에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는 한국노동연구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직장인 행복도 지표 블라인드 지수(BIE·Blind Index of Employees' Happiness)’ 조사 결과, 지난해 점수가 전년 대비 1점 오른 41점에 그쳤다고 15일 밝혔다. 지난해 6월 28일부터 11월 28일까지 한국 블라인드 애플리케이션을
이승욱 기자 2024-01-15 16:50:45
대기업 사외이사 5명 중 1명은 기업 2곳 이상 겸직

대기업 사외이사 5명 중 1명은 기업 2곳 이상 겸직

30대 그룹 사외이사 5명 중 1명은 대기업 2곳 이상에 겸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에서 사외이사를 둔 237개 계열사의 사외이사 827명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177명(21.4%)이 2곳 이상 기업의 사외이사를 겸직했다. 특히 전체 겸직 사외이사의 58.8%에 해당하는 104명이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등 상위 5대 그룹 사외이사였다.
이승욱 기자 2024-01-09 09:28:33
할인 영향 최저가 ‘온라인 소비’ 폭발…지난해 11월 거래액 21조원 육박

할인 영향 최저가 ‘온라인 소비’ 폭발…지난해 11월 거래액 21조원 육박

지난해 11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년 전보다 2조원 넘게 증가하면서 21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1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보다 13.0%(2조4033억원) 증가한 20조8422억원으로 집계됐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20조원을 돌파한 이후 두 달 연속 20조원을 훌쩍 넘겼다. 상품군별
권태욱 기자 2024-01-03 15:08:00
韓 무역수지 2년 연속 적자…“6월 이후 호조세”

韓 무역수지 2년 연속 적자…“6월 이후 호조세”

우리나라가 지난해 2년 연속 적자 기록을 냈다. 2022년과 비교하면 적자 규모는 다소 줄었지만 100억달러 가까운 무역수지 적자 기록이다. 다만 지난해 6월 이후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무역수지 개선 여지를 보여줬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 동향’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은 6천326억9천만달러로 직전해인 2022년과 비교하면 7.4% 감소했
이승욱 기자 2024-01-01 11:21:45
“청년 행복도 가장 높은 시간은 주 15∼40시간”

“청년 행복도 가장 높은 시간은 주 15∼40시간”

청년들의 주당 노동시간이 길어질수록 직무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개인 행복도가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와 행복도가 가장 높은 그룹은 주 15∼40시간 일하는 청년들이었다. 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학술지 ‘노동정책연구’에 따르면 박주상 지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청년 임금노동자의 노동시간과 행복’ 논문에서 대졸 청년들의 노동시
이승욱 기자 2024-01-01 09:17:09
쿠팡·장금상선 등…지난해 90개 중견기업 대기업 진입

쿠팡·장금상선 등…지난해 90개 중견기업 대기업 진입

국내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 수가 지난해 100개 가깝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전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모두 전년 대비 10% 안팎으로 증가했고, 투자도 20% 넘게 확대되며 큰 폭으로 성장했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 중견기업 기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 중견기업 수는 전년보다 96개 늘어난 5576개로
이승욱 기자 2023-12-27 16:18:49
프랜차이즈 가맹점 매출 100조원 넘어…역대 최대

프랜차이즈 가맹점 매출 100조원 넘어…역대 최대

지난해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매출액이 100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에 매출이 84조 6930억원이었는데 지난해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18.2% 늘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프랜차이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프랜차이즈 가맹점수는 28만 6000곳, 종사자수는 94만 2000명, 매출은 100조 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프랜차이즈 본부와 직영점을 제외한 가맹점
조경만 기자 2023-12-26 14:30:09
‘경제 허리’ 40대 감소세…11월 취업자 20년 만에 최소

‘경제 허리’ 40대 감소세…11월 취업자 20년 만에 최소

전반적인 인구 감소세가 40대 취업자 수준에도 전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청년층 다음으로 40대가 가장 큰 인구 감소폭을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40대 취업자 수는 11월 기준 20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을 보이며 취업자 수를 끌어내렸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지난 11월 40대 인구는 790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9천명 줄어든
이승욱 기자 2023-12-26 10:35:28
‘카푸어 걱정됐나’…20대 신차 구매 역대 최저

‘카푸어 걱정됐나’…20대 신차 구매 역대 최저

전체 연령대 가운데 20대 이하에서 새 차를 구입하는 비중이 점차 작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국토교통부 통계를 활용해 집계한 연령별 신차 등록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1월 20대(8만535대)와 10대(1823대)의 승용 신차 등록 대수는 8만2358대로, 전체 신차 등록 대수(137만6621대)의 6.0%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올 한해 20대 이하의 신차 등
이승욱 기자 2023-12-25 10:25:57
지난해 서울 1인당 개인소득 2611만 원…6년째 1위

지난해 서울 1인당 개인소득 2611만 원…6년째 1위

지난해 서울이 6년째 전국에서 1인당 개인소득 1위를 기록했다. 인천의 지역내총생산(실질)이 6.0% 성장할 때 전남과 울산은 마이너스(-)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지역소득(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1인당 개인소득은 2339만원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2611만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서울은 2017년 울산
이승욱 기자 2023-12-22 15:21:52
“사람 뽑기 어렵네”…올해 기업 10곳 중 8곳 인력 충원 실패

“사람 뽑기 어렵네”…올해 기업 10곳 중 8곳 인력 충원 실패

올해 채용을 진행한 기업 10곳 중 8곳이 애초 계획한 충원 목표를 채우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사람인 HR연구소는 21일 발표한 ‘2023 채용결산 & 2024 전망’를 통해 기업 317개사 중 올해 직원을 채용한 291개사의 80.4%가 연초 계획한 수준의 인원을 채용하지 못했다고 밝혔다.특히 26.8%의 기업은 충원 인원이 애초 계획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며 심각한 구인난을 겪고
김한울 경기일보 기자 2023-12-21 12:05:02
올해 분양사업지 10곳 중 3곳 청약경쟁률 0%대…양극화 심화

올해 분양사업지 10곳 중 3곳 청약경쟁률 0%대…양극화 심화

올해 공급된 전국 아파트 분양사업지 10곳 중 3곳은 청약경쟁률이 0%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0일까지 아파트 분양을 진행한 전국 사업지는 215곳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67곳(31.2%)은 청약경쟁률이 0%대를 기록했다. 청약경쟁률이 0%대라는 것은 청약 미달로 경쟁률이 1대 1을 밑돌았다는 의미다. 지난해 청약경쟁률 0%대
권태욱 기자 2023-12-18 10:17:31
KB금융 “한국 부자, 올해 예적금 늘리고 부동산 줄여”

KB금융 “한국 부자, 올해 예적금 늘리고 부동산 줄여”

금융자산 10억원, 부동산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한국 부자들은 올해 부동산보다는 예적금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KB금융그룹은 금융자산 10억원 이상과 부동산자산 10억원 이상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한국 부자의 현황, 투자 행태, 미래 투자방향 등을 분석한 ‘2023 한국 부자 보고서’를 17일 발간했다.금융자산 10억원, 부동산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한국 부자들
이승욱 기자 2023-12-17 10:08:14
9월 기업 체감경기 ‘반등’…여가 서비스업 회복 영향

9월 기업 체감경기 ‘반등’…여가 서비스업 회복 영향

9월 기업 체감경기가 일부 제조업 업황과 여가 서비스업 회복에 힘입어 소폭 개선됐다.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9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전산업 9월 업황 BSI는 73으로,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하며 3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BSI는 기업체가 느끼는 체감경기를 나타낸다. BSI가 100보다 낮으면 경기 악화를 예상하는 기업이 많음을 의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09-27 12:31:19
반전 없는 반도체 ‘불황’…8월 ICT 수출 전년比 16.7% ↓

반전 없는 반도체 ‘불황’…8월 ICT 수출 전년比 16.7% ↓

올 8월에도 반도체 불황이 이어지고 있다. 수출 감소 폭은 개선되는 추세지만, 여전히 중국을 중심으로 수출입이 크게 줄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4일 발표한 ‘2023년 8월 정보통신사업(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ICT 수출은 160억5천만달러(약 21조2천999억원)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16.7% 감소했다.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의 단가 약세 지속, ICT 기기 수요 회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09-14 13:25:40
‘역전세 우려’ 줄었나…“전세 찾는 세입자 증가”

‘역전세 우려’ 줄었나…“전세 찾는 세입자 증가”

주택 임대차 거래 유형 중 전세를 선호하는 임차인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업체는 역전세 우려가 다소 해소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1일 직방이 지난 8월 17~31일까지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63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세를 선호하는 임대인 및 임차인 비율은 60.4%로, 전년(57.0%) 대비 3.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역전세 공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09-12 13:56:04
작년 정보보호산업 매출 16조 돌파…물리보안 종사자는 8.8%↓

작년 정보보호산업 매출 16조 돌파…물리보안 종사자는 8.8%↓

지난해 국내 정보보호 산업이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국가전략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클라우드보안, 네트워크보안 등 신규 보안기술 분야의 성장과 CC(폐쇄회로)TV, 생체인식보안시스템 등 물리보안 분야 수출 신장이 주요 성장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다만 물리보안 시장 규모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것과 달리, 물리보안기업 종사자는 전년 
이승욱 기자 2023-09-08 19:42:03
‘삼중고 시름’ 식품·유통업체들, 동반성장으로 시너지 노려

‘삼중고 시름’ 식품·유통업체들, 동반성장으로 시너지 노려

지속적인 경기 부진과 국제유가, 곡물 등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국내 식품가공업체들이 ‘삼중고’를 겪고 있다.특히 금융당국이 식료품 가격 상승 악화를 예고하면서 관련 업체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식품가공업체와 유통업체들이 상생협력으로 삼중고의 파고를 극복하는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한은 “식료품 물가 상승 우려”…관련 업계도 &lsqu
김수정 경기일보 기자 2023-09-08 19:31:24
시중은행, '지역재투자평가' 절반 이상 '미흡'…대책 시급

시중은행, '지역재투자평가' 절반 이상 '미흡'…대책 시급

올해 시중은행들에 대한 지역경제재투자평가 결과 6곳 중 2곳이 ‘미흡’ 등급을 받아 대책안이 시급한 실정이다.금융위원회는 31일 각 금융사의 2023년도 지역재투자평가 결과 전체 27개사 중 시중은행 2곳과 상호저축은행 6곳, 특수은행 1곳 등 총 9곳이 저조 평가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 중 시중은행 2곳과 상호저축은행 1곳이 미흡 등급을, 특수은행 1곳과 상호저축은행 5
이승욱 기자 2023-09-08 19:18:31
1 2 3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