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경제정책

iM증권 ”美 대선 후 두드러진 강달러, 상당기간 이어질 것“

iM증권 ”美 대선 후 두드러진 강달러, 상당기간 이어질 것“

미국 대선 이후 강(强)달러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원달러 환율은 추가 상승 압력을 받으면서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제 예외주의라고 표현되는 경제 성장세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강한 랠리를 보여주고 있는 미국 증시가 글로벌 자금의 달러자산 선호 현상을 강화
이현정 기자 2024-11-15 15:24:57
외환당국 7개월만에 구두개입…

외환당국 7개월만에 구두개입…"과도한 변동성에 적극 조치"

미국 대선 충격파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세를 보이며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불리는 1,400원 선을 뚫고 올라가자,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에 나섰다.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주재한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미국 신정부의 정책기조 변화와 함께 세계경제 성장·물가 흐름,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와 관련해 불확실성이 상존하
연합뉴스 2024-11-14 09:51:35
올해 금 거래대금 2조원 육박…두달 남았는데 작년 연간규모 ‘훌쩍’

올해 금 거래대금 2조원 육박…두달 남았는데 작년 연간규모 ‘훌쩍’

지정학적 위험 확대, 미국 대선 경계감 영향으로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늘어나면서 올해 들어 국내 금 거래대금이 이미 지난해 연간 규모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금 거래대금은 1조9천634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거래대금(1조1천286억원)을 넘어섰다.연초 이후 금 거래량도 18.394t(톤)으로 지난해 연간 거래량(13.792t)을 뛰어넘었다.
연합뉴스 2024-11-03 14:49:49
이창용 한은 총재 “경기침체기 아냐…전면적 부양책 필요 없어”

이창용 한은 총재 “경기침체기 아냐…전면적 부양책 필요 없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9일 우리나라가 침체 국면에 들어섰다는 지적에 동의할 수 없다며 “재정 정책을 통한 전면적인 경기부양책은 필요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재정 정책을 활용하지 않아 경기 침체가 지속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
이승욱 기자 2024-10-29 14:33:29
금융당국, 집주인  상환능력 따져본다…신용평가 도입 검토

금융당국, 집주인 상환능력 따져본다…신용평가 도입 검토

금융당국이 집주인의 신용도를 평가해 전세대출을 내주는 방안을 검토한다. 2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세대출 실행때 임대인 상환 능력과 관련한 은행권 신용평가를 도입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은행권이 자체 신용평가시스템(CSS)을 활용해 집주인의 전세자금 반환 능력을 확인한 뒤 대출을 내주도록 한다는 취지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임대인은 직접적
연합뉴스 2024-10-20 11:03:20
美 연준 월러 “금리인하 신중하게…내년에도 점진적으로 해야”

美 연준 월러 “금리인하 신중하게…내년에도 점진적으로 해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연준이 금리인하를 신중하게, 천천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이후에는 완만한 금리인하가 적절할 것이라고 지적했다.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월러 이사는 이날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후버 연구소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 "전체적인 데이
연합뉴스 2024-10-15 10:06:38
3년만에 통화정책 ‘긴축→완화’로 전환…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3년만에 통화정책 ‘긴축→완화’로 전환…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1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본격적인 통화정책 기조 전환(피벗)에 들어갔다. 3년여 만에 마침내 우리나라 통화정책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돈줄을 죄는 ‘긴축’에서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는 ‘완화’ 쪽으로 돌아선 것이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
연합뉴스 2024-10-11 10:47:52
한국, 내년 11월부터 세계국채지수 WGBI 편입…4수 끝에 결실

한국, 내년 11월부터 세계국채지수 WGBI 편입…4수 끝에 결실

우리나라가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World Government Bond Index)’ 편입에 성공했다. 2022년 9월 관찰대상국(Watch List) 지위에 오른 지 네번째 도전만이다. 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스 글로벌 국채지수(BBGA), JP모건 신흥국국채지수(GBI-EM)와 함께 전 세계 기관투자자들이 추종하는 채권지수로 꼽힌다. 2002년 BBGA에 이어 WGBI까지 양대 ‘국채 선진그룹’에
연합뉴스 2024-10-09 10:16:31
[발굴] “부동산 신탁사만 믿었는데…” 수익 한푼 없이 ‘국세 폭탄’ 맞는 토지주들

[발굴] “부동산 신탁사만 믿었는데…” 수익 한푼 없이 ‘국세 폭탄’ 맞는 토지주들

부동산 신탁사가 위탁자(토지주)로부터 국세인 부가가치세(이하 부가세) 환급금을 사실상 양도받은 뒤 이를 해당 신탁사업 경비로 사용했다는 이유를 들어 부가세 납부 책임을 위탁자에만 미뤄 ‘국세 환수’ 지연과 함께 ‘세금 폭탄’ 피해를 양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일부 위탁자들은 “불공정한 신탁계약에 따라 부가세 환급금 청구권을 신탁사에 양
이승욱 기자 2024-10-02 17:28:35
'유가 하락' 1%대 진입한 물가…'10월 금리인하론' 힘 받나

'유가 하락' 1%대 진입한 물가…'10월 금리인하론' 힘 받나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소비자물가가 3년반 만에 1%대로 떨어지면서 10월 기준금리 결정에 변수가 될지 주목된다. 중동사태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등 불확실성에도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금리인하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다만 인플레이션은 이미 금리인하의 조건을 충족한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 등이 변수로 떠오른
연합뉴스 2024-10-02 10:54:23
반도체가 이끈 9월 수출…12개월째 ‘수출플러스’

반도체가 이끈 9월 수출…12개월째 ‘수출플러스’

한국의 9월 수출이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감소했음에도 7.5% 증가하면서 수출이 12개월째 전년보다 증가한 '수출 플러스' 흐름이 이어졌다.휴일을 뺀 조업일수 기준 9월 일평균 수출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9월 반도체 수출도 136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9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9월 수출액은 587억7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
연합뉴스 2024-10-01 11:52:51
기재부 처음 방문한 이창용 “정책공조”…최상목 “협력 파트너”

기재부 처음 방문한 이창용 “정책공조”…최상목 “협력 파트너”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기획재정부 세종청사를 찾았다.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지난 2월 한은 방문에 대한 답방 성격이지만, 통화정책 독립성을 기반으로 정부와 미묘한 긴장 관계를 유지해온 중앙은행 수장이 재정당국을 직접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날 오전 11시께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 도착한 이 총재는 기자들에게 "답방하고 싶다는 약속을 지
한양경제 2024-09-30 17:44:09
1∼8월 국세, 작년보다 9.4조 덜 걷혀…법인세 중간예납 1.3조↓

1∼8월 국세, 작년보다 9.4조 덜 걷혀…법인세 중간예납 1.3조↓

올해 들어 8월까지의 국세 수입이 작년보다 9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법인세 수입이 3∼5월 급감한 데 이어 8월 중간예납분 역시 작년보다 1조원 이상 줄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30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8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국세는 23조원4천억원 걷혀 작년 같은 달보다 6천억원(2.6%) 감소했다. 월간 국세수입은 올해 3∼6월 줄다가 7월 '반짝' 증
연합뉴스 2024-09-30 13:39:26
불법대출 막는 '여신거래 안심차단' 한 달간 9만명 이용

불법대출 막는 '여신거래 안심차단' 한 달간 9만명 이용

보이스피싱이나 명의도용 등 불법대출 피해 예방을 위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가 시행된 지 한 달 만에 9만명의 소비자가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가 8월 23일 시행된 이후 이달 26일까지 8만9천817명이 가입했다고 29일 밝혔다.이 서비스는 이용자가 본인도 모르는 사이 실행된 대출로 금전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신용대
연합뉴스 2024-09-29 13:48:02
“파월 ‘빅컷’은 강한 리더십 상징…박빙을 압도적 지지로 바꿔”

“파월 ‘빅컷’은 강한 리더십 상징…박빙을 압도적 지지로 바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이하)을 끌어내며 강한 리더십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지난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금융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폭을 두고 0.25%포인트와 0.5%포인트 사이에서 의견이 팽팽하게 엇갈렸다.블룸버그통신은 당시 1차례 빅컷을 포함한 연내 1%포인트 인하 전망이 과반을 조금 넘었지만 0.25
연합뉴스 2024-09-26 10:25:27
'빅컷'에 한은 10월 인하 가능성↑…집값·부채 관건

'빅컷'에 한은 10월 인하 가능성↑…집값·부채 관건

마침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빅컷'(기준금리 0.50%p 인하)과 함께 통화정책 전환(피벗)에 나서면서, 한국은행의 10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최근 안정된 물가와 부진한 내수 경기만 보자면 당장 기준금리를 낮춰도 이상하지 않지만, 가계대출이 서울 등 수도권 집값 상승을 이끄는 상황에서 한은으로서는 금리 인하가 자칫 부동산
연합뉴스 2024-09-19 09:23:19
美, 금리 0.5%p 내려 4.75~5.0%로…올해 0.5%p 추가 인하 예고

美, 금리 0.5%p 내려 4.75~5.0%로…올해 0.5%p 추가 인하 예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년 반 만에 기준 금리 인하를 단행하며 팬데믹 이후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한 긴축 통화정책 기조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연준은 18일(현지시간)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5.25∼5.50%에서 4.75∼5.0%로 0.5% 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폭 인하를 의미하는 '빅컷'이었다
연합뉴스 2024-09-19 07:16:38
올해 7천억원 잉여금 결손…한국은행, 내년도 정부 세입 예산 4조2천억원 책정

올해 7천억원 잉여금 결손…한국은행, 내년도 정부 세입 예산 4조2천억원 책정

한국은행이 내년 한 해 정부에 납부할 잉여금이 4조원대로 책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일부 세수 결손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기획재정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2025년도 세입 예산안에 한은 잉여금의 일반 세입 징수 규모를 4조2천억원으로 편성했다. 이는 올해 한은
연합뉴스 2024-09-15 14:01:37
[TAX가이드] 성실납부자, ‘세금포인트’로 산림 휴양·생태 체험한다

[TAX가이드] 성실납부자, ‘세금포인트’로 산림 휴양·생태 체험한다

국세청(청장 강민수)은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는 납세자가 ‘세금포인트’를 사용해 자연과 함께하는 건강한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국세청은 지난 2일 산림청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등과 각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에 따라 세금포인트를 사용해 산림청 산하 전국 46개 국립자연휴양림에서 입장료
이일화 세무전문기자 2024-09-15 12:02:41
대학 투자동아리 찾은 최상목

대학 투자동아리 찾은 최상목 "금투세, 시장 원하는 방향으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관련 "조속히 논의돼 시장이 원하는 방향으로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최 부총리는 이날 충남대 중앙도서관 미디어존에서 충남대 증권투자동아리(SIRT)와 간담회를 한 뒤 "1천400만 주식투자자 보호를 위해 연초부터 금투세 폐지 방침을 밝히고 세법개정안을 제출해 추진 중이나 시행 넉 달이 채
연합뉴스 2024-09-09 14:52:42
1 2 3 4 5 6 7 8 9 10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