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DATA STORY

올해 해외직구-역직구 격차 커져…중국이 8배로 최대

올해 해외직구-역직구 격차 커져…중국이 8배로 최대

올해 해외 직접 구매(직구)와 직접 판매(역직구) 격차가 지난해보다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과의 거래에서 이러한 불균형이 도드라졌다.2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해외직구 건수는 1억2천10만7천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천943만4천건)에 비해 51.2%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33억4천200만달러(약 4조3천784억원)에서 39억1천700만달러(약 5조1천317억원)로 17.2% 늘었다.중
연합뉴스 2024-10-02 16:14:44
반도체가 이끈 9월 수출…12개월째 ‘수출플러스’

반도체가 이끈 9월 수출…12개월째 ‘수출플러스’

한국의 9월 수출이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감소했음에도 7.5% 증가하면서 수출이 12개월째 전년보다 증가한 '수출 플러스' 흐름이 이어졌다.휴일을 뺀 조업일수 기준 9월 일평균 수출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9월 반도체 수출도 136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9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9월 수출액은 587억7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
연합뉴스 2024-10-01 11:52:51
‘국민 농협’이 주는 ‘선한 영향’…“경제 기여도 6년새 89% 증가”

‘국민 농협’이 주는 ‘선한 영향’…“경제 기여도 6년새 89% 증가”

대한민국 농업계를 상징하는 농협의 사회·공익적 가치가 매년 커지고 있다. 국내 농입인의 ‘자주적인 협동조합’을 기치로 내건 농협이 소속 조합원의 실익을 키우는 것뿐만 아니라, 국민경제 전반에 미치는 이른바 ‘선한 영향’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농협은 국민경제에 총 58조8천억원 규모 부가가치를 유발하고 107만명에 이르는 대규모 일자리
이승욱 기자 2024-07-10 16:19:37
기업 10곳 중 4곳 “상반기 대출 이자 내면…잘해도 본전”

기업 10곳 중 4곳 “상반기 대출 이자 내면…잘해도 본전”

#1. 기계장비 관련 A제조업체는 최근 4%대로 은행 대출을 받았다. 그런데 올 상반기 이자 비용이 영업 이익보다도 수천만원 이상 더 많아지면서 적자를 봤다. A업체 관계자는 "자금 사정이 계속 악화돼 원래 계획했던 신규 생산라인 투자도 무기한 지연되고 있다"며 "금리가 2% 후반대까지만 떨어지면 미뤄둔 투자부터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2. 또 다른 대출을 받은 B식품제조업
이연우 경기일보 기자 2024-07-10 13:41:55
5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 7개월만 최대…‘주담대’가 견인

5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 7개월만 최대…‘주담대’가 견인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달 6조원 더 늘어나며 7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주택거래가 늘어나며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커지면서 가계대출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5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5월 말 정책모기지론을 포함한 예금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천109조6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잔액보다 6조원 늘어난 규모다.
이승욱 기자 2024-06-12 15:26:31
1~4월 非중국 전기차 인도량 10.4%↑…현대차는 ‘마이너스’

1~4월 非중국 전기차 인도량 10.4%↑…현대차는 ‘마이너스’

올 들어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신규 등록한 전기자동차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非)중국 시장에서 가장 많이 신규 등록한 차종은 테슬라로 집계됐고, 국내 기업 현대·기아차는 전년 동기보다 1단계 낮은 점유율 4위로 내려앉았다. 11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4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80개국에서 소
이승욱 기자 2024-06-11 14:48:01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 두 달 연속 2%대 후반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 두 달 연속 2%대 후반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2% 후반대를 유지하면서 두 달 연속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과일 등 신선식품과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류 상승 등 일부 품목에서 강한 상승률을 보이며 여전히 불안한 물가 흐름을 나타냈다. 4일 통계청의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09(2020년 기준 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7% 상승했다. 올
이승욱 기자 2024-06-04 09:39:22
4월 수출입물가, 넉 달 연속 오름세…환율‧유가상승 등 영향

4월 수출입물가, 넉 달 연속 오름세…환율‧유가상승 등 영향

원‧달러 환율과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수출입 물가는 넉 달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4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132.17로 3월(126.94)보다 4.1% 상승했다. 이는 전년 대비 6.2% 오른 수준이다.항목별로는 공산품이 전달 대비 4.1% 상승했고, 공산품 가운데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7.3%)
이창원 기자 2024-05-14 08:56:21
국내 주유소 기름값 주춤…경유는 5주만 하락 전환

국내 주유소 기름값 주춤…경유는 5주만 하락 전환

국내 주유소 기름값 상승세가 다소 둔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경유 가격은 5주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2일까지 5월 첫째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리터당 1천712.9원이었다. 이는 직전 주 평균 판매가 대비 4.6원 오른 수준이다. 국내 주유소 휘발유 판매가는 3월 넷째주 상승세로
이승욱 기자 2024-05-04 10:54:31
“가점불리하고 분양가 높아”…2030 당첨 줄고 5060 늘어

“가점불리하고 분양가 높아”…2030 당첨 줄고 5060 늘어

올해 들어 청약 당첨자 가운데 50대 이상 당첨자 비율이 소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청약 당첨자 연령대별 데이터(3월 25일 발표 기준)를 분석한 결과, 50∼60대 이상 당첨자 비율이 23.00%로 나타났다. 50∼60대 이상 당첨자 비율은 2021년 19.65%, 2022년 19.77%, 지난해 20.46% 등으로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올해는 특히
권태욱 기자 2024-04-23 09:53:47
3월 생산자물가 넉달째 상승세…배추 36%·김 20% 급등

3월 생산자물가 넉달째 상승세…배추 36%·김 20% 급등

올해 3월 생산자물가가 넉달째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과 공산품 가격 등이 여전히 상승세를 보였고,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6% 오르는 등 전년 동월 대비하며 8개월 연속 고물가를 보였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생산자물가지수(2015년 100 기준)는 전달(122.21)보다 0.2% 오른 122.46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전월 대비 생산자물가지수 오름세는 지
이승욱 기자 2024-04-23 09:45:56
‘이스라엘 보복 공격’ 코스피 장중 3% 급락…코스닥 3.5%↓

‘이스라엘 보복 공격’ 코스피 장중 3% 급락…코스닥 3.5%↓

코스피가 19일 장중 이스라엘의 이란에 보복 공격 소식이 전해지면 한때 낙폭을 3% 이상으로 확대했다.이날 오전 11시 53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74.80포인트(2.84%) 내린 2,559.90을 기록 중이다.코스피가 장중 2,560선 아래로 내려온 것은 지난 2월 2일(2,559.39) 이후 처음이다.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01포인트(1.29%) 내린 2,600.69로 출발해 낙폭을 빠르게 키웠다. 한때 3.08% 하락해 2,5
연합뉴스 2024-04-19 13:23:49
3월 취업자 17만3천명 ↑…37개월 만에 최소 증가폭

3월 취업자 17만3천명 ↑…37개월 만에 최소 증가폭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년여만에 최소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반도체 생산 호조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청년층 취업자는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39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3천명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1년 2월 47만3천명 줄어든 뒤
이승욱 기자 2024-04-12 08:25:39
4월 10일까지 수출 21.6% 증가…무역적자 20억달러

4월 10일까지 수출 21.6% 증가…무역적자 20억달러

이달들어 수출이 반도체와 승용차의 호조 등에 힘입어 20% 넘게 증가했다. 미국과 중국에 대한 수출도 호조를 보인 가운데 대미(對美) 수출액이 대중(對中) 수출액을 웃돌았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4월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64억4천1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6%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13.5% 늘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7.5일로 전
이승욱 기자 2024-04-11 10:00:28
흙대파 판매가 1년 만에 51.8%↑…유통매장 생필품 167개 가격 상승

흙대파 판매가 1년 만에 51.8%↑…유통매장 생필품 167개 가격 상승

1년 새 소비자들이 대형마트 등에서 많이 찾는 상당수 생활필수품의 판매가가 큰 폭으로 오른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소비자원의 생필품가격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말 기준 생필품 11개 품목 306개 상품 가운데 지난해 같은 달보다 판매가가 뛴 상품은 167개였다. 가격이 낮아진 상품은 126개, 가격 변동이 없는 것은 13개였다. 전체적으로는 평균 1.5% 오르는 데 그쳤으나 가격이 오
권태욱 기자 2024-03-31 11:08:06
‘알리의 습격’ 해외직구 증가에 소비자 불만 상담도 늘어

‘알리의 습격’ 해외직구 증가에 소비자 불만 상담도 늘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계 온라인 쇼핑몰의 국내 공략이 본격화하면서 덩달아 소비자 불만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해당 기관에 접수된 국제 거래 소비자 상담건수는 1만9천418건으로 전년 1만6천608건보다 16.9% 증가했다. 전체 상담건수 중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해외 직접거래 관련 상담이 60.8%인 1만1천798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조경만 기자 2024-03-29 12:01:28
기업 빚 증가폭, 세계 5위…작년 4분기 부채비율 4.2%p 증가

기업 빚 증가폭, 세계 5위…작년 4분기 부채비율 4.2%p 증가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부채가 세계 다섯 번째로 급격히 늘어난 수준을 보였다. 국가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하락 기조를 보이고 있지만 기업 신용 대출 등이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3일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행한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GDP 대비 비(非)금융기업 부채 비율은 125.2%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 대상 세계 34개국 중 네
이승욱 기자 2024-03-03 13:18:17
전국 아파트 매매가 13주 연속 내림세…전셋값은 오름세 유지

전국 아파트 매매가 13주 연속 내림세…전셋값은 오름세 유지

부동산 경기 불황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이 13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전반적인 가격 하락 속에서도 서울을 중심으로 전셋값은 40주째 오르며 상승 기조를 이어가 매매 시장과 동떨어진 흐름을 나타냈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셋째 주(1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05% 하락했다. 이는 13주 연속 하락한
권태욱 기자 2024-02-22 15:55:33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 70%대 회복…수도권·지방 모두 올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 70%대 회복…수도권·지방 모두 올라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된 가운데 최근 주거 여건이 좋은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나타나며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소폭 상승했다.8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2.1%로, 전달 대비 4.8%포인트 상승하며 70%대를 회복했다.수도권은 81.1%로 4.9%포인트 올랐으며, 5대 광역시는 70.4%로 5.4%포인트 상승했다.기타
연합뉴스 2024-02-08 11:26:52
서울 직장인 상위 0.1% 근로소득, 강원과 3배 격차

서울 직장인 상위 0.1% 근로소득, 강원과 3배 격차

근로소득자 소득 금액의 시도별 편차가 최대 3배까지 나는 것으로 집계뙜다. 서울 상위 0.1% 직장인 평균 연봉은 14억원이나 강원의 평균 연봉은 4억6천만원 수준에 불과했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서울 근로소득자 상위 0.1%에 드는 직장인은 6천213명이다. 이들의
이승욱 기자 2024-01-27 10:37:43
1 2 3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