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조향래

[트로트 르네상스] <63> 베트남 테마곡

[트로트 르네상스] <63> 베트남 테마곡

베트남은 여러 가지로 한국과 닮았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국토의 형상은 물론 식민지를 겪은 역사가 그렇다. 한자권 영향의 유교적인 풍속과 벼농사 위주의 농경문화도 유사하다. 부지런하고 자주적인 국민성도 그렇다. 오랜 프랑스 식민통치에서 해방되자마자 좌우 진영으로 나뉘어져 극심한 내전을 치른 것도 판박이다. 다만 사회주의 정권으로 통일을 이룬 것이 우리와
한양경제 2025-07-30 10:14:54
[트로트 르네상스] <62>전쟁가요 (7)-전쟁 고아의 설움

[트로트 르네상스] <62>전쟁가요 (7)-전쟁 고아의 설움

6·25전쟁은 모진 상처와 짙은 그늘을 남겼다. 무수한 가정을 잔혹하게 파괴하고 멀쩡한 가족을 마디마디 해체하며 50만 명의 미망인과 10만 명의 고아를 양산했다. 부모를 잃어버린 채 생일조차 알 수 없는 고아들은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거리를 헤매고 다녔다. 전란이 남긴 또 하나의 비극적 산물이었다. 그것은 당시 한국 사회가 당면했던 속절없는 전후의 통증이기도 했다
한양경제 2025-07-23 10:55:06
[트로트 르네상스] <61>전쟁 가요(6)-전란의 상처

[트로트 르네상스] <61>전쟁 가요(6)-전란의 상처

대중가요는 시대 감성의 반영이다. 전쟁이 끝나도 그치지 않는 실향민들의 눈물과 이산(離散)의 아픔은 새로운 망향(望鄕)의 노래를 낳았다. 특히 전란에 휩쓸려 고향을 잃고 남으로 내려와 피란살이의 고달픔을 견뎌냈던 이북 월남민들의 절망감은 형언할 수 없는 것이었다. 고착화 된 분단의 장벽을 끝내 넘어가 보지도 못한 채 애달픈 망향가를 부르며 영원한 유랑자로 남아
한양경제 2025-07-17 10:26:58
[트로트 르네상스] <60> 전쟁가요(5)-전란 속의 서정

[트로트 르네상스] <60> 전쟁가요(5)-전란 속의 서정

베토벤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고난을 겪던 1809년에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를 썼다. 차이코프스키는 조국 러시아가 나폴레옹군을 물리친 전쟁을 테마로 ‘1812년 서곡’을 완성했다. 프랑스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은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을 경험하며 피아노 3중주곡을 썼다. 6·25 전쟁의 참혹한 시련 속에서도 주옥같은 서정 가요들이 탄생했다. 전란의 피폐와
한양경제 2025-07-14 09:43:26
[트로트 르네상스] <59>전쟁가요(4)-전쟁의 참상 

[트로트 르네상스] <59>전쟁가요(4)-전쟁의 참상 

‘미아리 눈물고개 임이 넘던 이별고개, 화약 연기 앞을 가려 눈 못뜨고 헤매일 때, 당신은 철사줄로 두 손 꽁꽁 묶인 채로, 뒤돌아보고 또 돌아보고 맨발로 절며절며, 끌려가신 이 고개여 한많은 미아리고개’. 이해연이 부른 ‘단장의 미아리고개’는 작사가 반야월이 직접 겪은 피란가요이자 전쟁의 참상을 생생하게 그린 전쟁가요이다. 그것은 남편을 빼앗긴 여
한양경제 2025-07-02 10:26:45
트로트 르네상스<24> 강의 노래

트로트 르네상스<24> 강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민요조의 4행으로 구성된 김소월의 서정시는 강(江)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정한을 함축하고 있다. 강은 평화로운 자연 속에 가족과 함께 오순도순 살고 싶은 소망의 상징이다. 문학이 그러하듯 대중가요에서 강의 서사와 서정 또한 그렇지 못한 현실에서 우러나온
한양경제 2024-08-18 14:50:52
[트로트 르네상스]<15> 이산가족의 슬픔

[트로트 르네상스]<15> 이산가족의 슬픔

한국전쟁은 숱한 실향민과 이산가족뿐만 아니라 10만명에 이르는 전쟁고아(孤兒)를 양산했다. 부모를 잃고 유리걸식하는 아이들은 생일조차 잃어버린 가련한 존재였다. 그 고단하고 서러운 처지를 사실적으로 대변한 가요가 남인수의 ‘어린 결심’, 김용만의 ‘생일 없는 소년’, 백설희의 ‘가는 봄 오는 봄’ 등이다.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사회가 일상적
한양경제 2024-04-07 14:25:22
1

DATA STORY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