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선도하는 '경제 나침반'

트로트 르네상스

[트로트 르네상스]<29> 모녀(母女)의 애환 (1)

‘캄캄한 세상바다 너 하나만 의지하고, 가시밭 불고개를 울며울며 넘을 적에, 그 누구가 앗아를 갔나 내 품안에 잠든 아기를, 구슬픈 엄마피리 오늘밤도 불어주마.’ 반야월 작사, 박시춘 작곡의 ‘피리 불던 모녀고개’는 1962년 개봉한 동명의 영화
한양경제 2024-10-28 14:16:05
[트로트 르네상스]<29> 모녀(母女)의 애환 (1)

[트로트 르네상스]<28> ‘아씨’와 ‘여로’의 시대

‘옛날에 이 길은 꽃가마 타고, 말탄 님 따라서 시집가던 길, 여기던가 저기던가 복사꽃 곱게 피어있던 길, 한세상 다하여 돌아가는 길, 저무는 하늘가에 노을이 섧구나’(아씨) ‘그 옛날 오색댕기 바람에 나부낄 때, 봄나비 나래 위에 꿈을 실어 보았는데,
한양경제 2024-10-01 13:12:25
[트로트 르네상스]<28>  ‘아씨’와 ‘여로’의 시대

[트로트 르네상스]<27> ‘고향설’과 ‘고향초’

‘한 송이 눈을 봐도 고향 눈이오, 두 송이 눈을 봐도 고향눈일세, 끝없이 쏟아지는 모란 눈 속에, 고향을 불러보는 고향을 불러보는 가슴 아프다.’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에 나온 백년설의 ‘고향설’(故鄕雪)은 국내외의 한국인들이 모르는 사람이 없
한양경제 2024-09-30 14:45:16
[트로트 르네상스]<27> ‘고향설’과 ‘고향초’

[트로트 르네상스]<26> 철도에 실은 트로트

철도는 인류가 발명한 획기적인 문명의 이기(利器)이지만 우리에게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어두운 시대적 산물이었다. 오로지 ‘식민지 경영’을 위한 군사적 팽창과 산업적 수탈의 방편이었기 때문이다. 철도는 이 땅의 귀중한 물자들을 빼앗아 갔고 소중
한양경제 2024-09-10 14:02:18
[트로트 르네상스]<26> 철도에 실은 트로트

트로트 르네상스<25> 모정(母情)의 트로트

‘낯선 타국 바다 건너 열세 살 어린 네가/ 오직 한 번 꿈에 본 듯 다녀간 이날까지/ 기다리던 스무 해 모진 목숨은 백발이 되었네/ 하늘 끝 저 멀리에 소리쳐 불러봐도/ 구슬픈 메아리에 들리는 너의 이름/ 철새도 봄이면 돌아오는데/ 떠나버린 내 아들은 소식도
한양경제 2024-09-01 13:48:51
트로트 르네상스<25> 모정(母情)의 트로트

[트로트 르네상스]<24> 강의 노래(1)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민요조의 4행으로 구성된 김소월의 서정시는 강(江)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정한을 함축하고 있다. 강은 평화로운 자연 속에 가족과 함께 오순도순
한양경제 2024-08-18 14:50:52
[트로트 르네상스]<24> 강의 노래(1)

트로트 르네상스<23> 제주를 노래하다

2000년 6·25전쟁 50주년 특집기사를 쓰던 현역 기자 시절이었다. 가수 남인수 금사향 신카나리아 등과 함께 찍은 빛바랜 흑백사진을 들고 신문사로 찾아온 노신사가 있었다. 대구에서 가수 활동 중에 전쟁이 일어나자 제주도 모슬포에 있는 육군 제1훈련소 전속
한양경제 2024-07-20 18:09:11
트로트 르네상스<23> 제주를 노래하다

[트로트 르네상스]<22> 기생의 애환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정든님 오시는 밤에 굽이굽이 펴리라’(황진이) ‘어이 얼어자리 무슨일 얼어자리, 원앙침 비취금을 어디 두고 얼어자리,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녹아잘까 하노라’(한우)
한양경제 2024-07-15 17:24:31
[트로트 르네상스]<22> 기생의 애환

[트로트 르네상스]<21> 고개의 정한(情恨)

‘문경새재는 웬~ 고갠가,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구나,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경북 문경에서 멀리 떨어진 전남 진도에서 발생한 민요 ‘진도 아리랑’에 왜 ‘문경새재’가 등장하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의견과 주
한양경제 2024-06-22 15:37:09
[트로트 르네상스]<21> 고개의 정한(情恨)

[트로트 르네상스]<20> 아버지의 노래

‘이 세상의 부모 마음 다 같은 마음, 아들 딸이 잘되라고 행복하라고, 마음으로 빌어주는 박영감인데, 노랭이라 비웃으며 욕하지마라, 나에게도 아직까지 청춘은 있다, 원더풀 원더풀 아빠의 청춘….’ 오기택이 노래한 경쾌한 가락의 ‘아빠의 청춘&
한양경제 2024-06-09 10:09:34
[트로트 르네상스]<20> 아버지의 노래

트로트 르네상스<18> 바람(風)의 트로트

코끝에 와닿는 화사한 봄바람은 어디서 온 것일까. 머릿결을 스치는 소슬바람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어느 산천의 향기를 머금고 지나왔으며, 누구의 한숨 위에 머물다 온 것일까. 긴 여정 먼 발자취를 남기고 내게로 다가온 바람 바람아! 스물셋 미당 서정주 시
한양경제 2024-05-24 11:04:38
트로트 르네상스<18> 바람(風)의 트로트

[트로트 르네상스]<17> 불교적 정서

우리 음악 역사에서 불교 관련 노래의 기원은 신라 향가(鄕歌)일 것이다. 향가의 불교적 정서는 고려속요를 거쳐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 그리고 민요와 판소리로 면면히 계승되었다. 20세기에 이르러 불교적인 노래는 주로 대중적 전파력이 강한 가요시 장르를 통
한양경제 2024-05-14 09:00:06
[트로트 르네상스]<17> 불교적 정서

[트로트 르네상스]<16> 사모곡(思母曲)

‘여자는 약하다 그러나 어머니는 강하다’.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가 남긴 명언이다. 위대한 모성(母性)에 대한 상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는 인류의 보편적 정서임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어머니는 한결같은 모습이고 변함없는 사랑이다. 이미
한양경제 2024-05-12 09:44:34
[트로트 르네상스]<16> 사모곡(思母曲)

[트로트 르네상스]<15> 이산가족의 슬픔

한국전쟁은 숱한 실향민과 이산가족뿐만 아니라 10만명에 이르는 전쟁고아(孤兒)를 양산했다. 부모를 잃고 유리걸식하는 아이들은 생일조차 잃어버린 가련한 존재였다. 그 고단하고 서러운 처지를 사실적으로 대변한 가요가 남인수의 ‘어린 결심’, 김용만
한양경제 2024-04-07 14:25:22
[트로트 르네상스]<15> 이산가족의 슬픔

[트로트 르네상스]<14> ‘나그네 서정’의 변주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역사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 막을 올렸지만, 트로트가 주류 장르로 부상한 것은 1930년대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이 등장하면서였다. 그 뒤를 이어 ‘짝사랑’ ‘애수의 소야곡’ ‘눈물젖은 두만강’ ‘꿈꾸
한양경제 2024-03-24 15:49:02
[트로트 르네상스]<14> ‘나그네 서정’의 변주

[트로트 르네상스]<13> 월남민들이 부르는 망향가

‘눈물어린 툇마루에 손 흔들던 어머니, 하늘마저 어두워진 나무리 벌판아, 길 떠나는 우리 아들 조심하거라, 그 소리 아득하니 벌써 70년…’ ‘유랑청춘’이라는 트로트 곡에는 분단 70년의 깊은 회한과 설움이 배어있다. 국민 MC였던 고(故) 송해가
한양경제 2024-03-11 11:36:41
[트로트 르네상스]<13> 월남민들이 부르는 망향가

[트로트 르네상스]<12> 전후 찾아온 이국적 노래의 유행

해방 후 미군정과 6·25전쟁의 여파는 미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세계 최강의 군사대국이자 최고의 경제대국인 미국의 대중음악 수용과 추종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전란의 피폐와 혼란에서 벗어나 정신적인 위안이라도 얻고 싶었던 대중의 욕구
한양경제 2024-02-26 15:37:47
[트로트 르네상스]<12> 전후 찾아온 이국적 노래의 유행

[트로트 르네상스]<10> 분단의 아픔을 토로하다

‘아~ 산이 막혀 못 오시나요. 아~ 물이 막혀 못 오시나요. 다 같은 고향땅을 가고 오련만. 남북이 가로막혀 원한 천리길...’ 전설의 가요 황제 남인수가 금속성(金屬性) 음색으로 호소한 트로트곡 ‘가거라 삼팔선’은 분단의 통점(痛點)을 적나라하게
한양경제 2024-01-23 16:34:45
[트로트 르네상스]<10> 분단의 아픔을 토로하다
1 2 3 4
8월 중간은 하지로부터 약 50여일이 지난 시점이다. 따라서 그만큼 해의 고도와 열기도 낮아진다. 아침과
가을의 전령사
한여름이 되면 그 동안의 강렬한 햇볕으로 대지가 충분히 달궈져 그 열기가 더 이상 땅으로 흡수되지 못
‘열대야(熱帶夜)’